-
문제 정의 [ 패스트 캠퍼스 x 야놀자 ]카테고리 없음 2023. 9. 25. 21:17
오늘은 문제 정의에 대한 강의 내용과 실제 프로젝트 과정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겠다.
프로덕트 매니저가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
조직 간 커뮤니케이션, 마감일 관리, 팀원들과 방향 맞추기, 여러 책임에 대해 균형감각을 갖는것
그렇다면
나는 사람과 일, 나 자신을 어떻게 대하나 ?
사람들에게 화를 내거나 몰아 붙이지 않지만 스스로를 몰아붙이고 화내는 편.. .! 나의 대한 만족이 없다.
💡현명한 프로덕트 매니저는 적절한 시점에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사람 🙋♀️
지금 이 순간 나 자신의 문제를 포함하여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놓으면 좋을까?
=> 큰 욕심을 버리고 차근차근 성과를 내고 만족하는것이 필요.
문제를 정의할때
사용자, 이런상황, 이런 불편한점이 있다 -> 해결
우리 주변의 어려움은 어떤것이 있을까?
=> 일상 속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어려운 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도메인 서칭 해보자.
=> 지속가능성 있는 프로덕트 프로젝트인지 고려하자.
pm 이 해야하는것- 기능 우선순위 정하기 (돈, 리소스, 시간 )
as is -> to be
pain points/ needs -> feature
비즈니스 지표와 프로덕트 지표를 통해 매출의 구성요소들을 생각하고 매출로 전환되었을때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싶다.
신사업이라면 러프하게라도 그릴수있어야한다.
처음부터 pmf, 영업이익을 고려한 bm.
우리의 첫번째 문제 정의
모든 노인들은 양로원이나 실버타운에 들어갈 수 없다.
타겟층? 노후에도 집 안에서 거주하고 싶은 노부모를 둔 4050 자녀들
솔루션 : 노인층 커뮤니티 플랫폼
4~50대를 타겟으로 현재부터 커뮤니티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향후 노후에도 활동할 수 있는 서비스
BM : 매칭 수수료
피드백 후 최종 솔루션? 노인친화 인테리어 관련 플랫폼
BM : 중개 수수료
피드백을 바탕으로 .,
노인분들이 가지고 있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시장가치 있음
- 웰니스 시장은 확장 중이지만, 정보의 격차가 많은 점. (홈쇼핑, 주변인 영업)
- >하지만 시장 접근 자체가 어려울 것 !!
다른 문제 정의를 생각해보자.
시장 접근이 쉽고 시장 가치가 있는 다른 문제를 정의해보자.
* 지속가능성 *시장 접근성, 가치 * 문제에 대한 공감
* 활용 빈도 수가 높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