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잘러 PM이 되는 방법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부트캠프] : 프로덕트 매니저(PM) 1기카테고리 없음 2023. 9. 11. 15:58
" 이게 왜 최선이었을까? "
기획자, PM, PO
=> 어떤 직무든 서비스를 개선하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면서 회사의 수익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
PM이 되면 회사 수익성을 따져 비용을 생각하고 결정해야함.
생각보다 기업은 더 많은 법적 이슈, 사회적 이슈를 고려해야한다.
내가 PM이 되어 서비스나 UI 등 개선할 때 최근 관련 업계의 이슈와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무조건 밀어 붙이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항상 " 이게 왜 최선이었을까? " 를 고민해보자.
의사결정도 PM의 역할
그보다 팀원+이해관계자가 원활하게 의사 결정할 수 있는 판을 깔아주고 틀을 만들어 주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 통화, 보고문 논의를 잘 시작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머릿속에 '어떤 이야기를', '무엇을 위해서(뭘 결정하기 위해서)', '누구랑', '언제' , '얼마나 오래'할 것인지 대략적인 그림을 그려보자. 🖼️
통화, 보고 문서 발표, 이메일 등 다양한 통로로 클라이언트와 소통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으면서 앞으로 프로젝트에서 예상되는 리스크 파악 가능
팁⭐ : 매주 직접/원격으로 만나서 작업한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질 것인지도 초반에 정하면 좋다. 산출물 공유 포맷/방식도 초반에 얘기하면 좋다.
보고 문서를 만들 때 가장 고민되었던 포인트: 누굴 대상으로 하고 어떤 내용을 우선순위로 전달할 것인가?
- 여러 명에게 업무를 분배할 때는? .. 각자 일하는 스타일, 업무 이해도, 사고방식을 파악
M/M이란?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월 인원.
주로 프로젝트 크기를 나타내는데 쓰임. 1M/M이라고 하면 1명이 한 달간 끝낼 수 있고, 2명이면 보름에 끝내는 업무.
5M/M이면 1명을 투입하면 5달 걸리고, 5명을 투입하면 1달 걸린다는 뜻.
- 책 추천
비전공자인 나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등 읽으면 도움이 되는 책 추천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it 지식 필요
오늘도 개발자가 안된다고 말했다 서비스 기획 스쿨 코드잇 궁금한 것이 있다면 코드잇에서 강의 듣기일잘러 PM 이 되기위해 비전공자에 입문자인 나는 갈 길이 멀다!!강사님의 꿀팁을 듣고 일잘러 pm이 되도록 " 이게 최선일까 " " 이게 왜 최선이었을까 " 를 항상 고민하는 pm이 될것이다.!!